|
|
성병은 일반적으로 성기의 접촉을 통해 전염되지만 성생활의 패턴에 따라서는 입이나 항문을 통해 전염되기도 합니다. 단 사면발이 같이 성병은 예외적으로 타월이나 속옷, 카페트 등에서 옮기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성병의 원인균은 30여 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에는 성병 하면 대표적으로 임질, 매독을 꼽았으나 페니실린의 사용 이후 매독은 매우 드물어졌습니다. 요즘 가장 흔한 성병으로는 임질, 크라미디아, 헤르페스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그 외에 곤지롬, 각종 질염(트리코모나스, 칸디다, 세균성 질염), 사면발이 등이 있으며, 간염 바이러스도 성관계로 옮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가 하면 우리 나라 기업들의 해외 파견 근무가 많아지면서 열대 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성병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성병은 전염병이므로 일단 걸리면 철저히 치료해야 합니다. |
|
|
|
성병에 걸리면 전신 및 피부, 구강, 목구멍, 질과 회음부 등에 각각 특징적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
|
| 미열이나 몸살 기운 | | 피부에 발진이 생기고 머리카락이 빠진다. | | 입 속에 하얀 꺼풀과 궤양이 생긴다. | | 물집과 사마귀가 항문까지 번진다. | | 아무런 증상이 없을 때 성병은 예방이 중요 |
|
|
|
|
|
|
페니실린 주사로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독의 다양한 증상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궤양이 생기지만 통증은 없습니다. | | 2차적 단계는 피부 발진입니다. | | 잠복기는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지속됩니다. | | 베토벤이 귀머거리가 된 것도 매독 때문입니다. |
|
|
|
|
가장 흔한 성병. 임질균은 점막의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세균으로, 건조한 곳에서는 금방 죽어버리기 때문에 화장실 변기나 문손잡이, 수건 같은 것을 통해서는 옮지 않습니다. 남성의 경우, 접촉 후 2∼10일의 잠복기가 지나면 갑자기 소변 볼 때 따끔거리면서 녹색을 띤 황색 고름 같은 분비물이 요로 끝에서 나오기 시작합니다. |
|
| 여성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 | 임질, 불임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
|
|
|
|
성기나 항문 주변에 닭 벼슬 모양으로 번지는 사마귀입니다. 바이러스가 원인이지만 바이러스가 원인인 병치고는 치료가 잘 되는 편입니다. 치료는 특별한 화학약품으로 녹여 내거나 고주파, 레이저 등을 이용해 도려냅니다. 만일 곤지름이 생겼다면 배우자의 성기에도 생기지 않았는지 살펴보고, 발견되면 즉시 치료를 받도록 합니다. 양쪽 모두가 치료가 끝날 때까지는 성 접촉을 금해야 합니다. |
|
|
|
외음부가 헐어 병원을 찾는 환자의 약 50%는 헤르페스입니다. 헤르페스는 피부나 점막의 접촉을 통해 전염 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피부나 점막에서도 번성하지만, 말초 감각 신경의 줄기를 타고 척추 근처의 감각 신경 세포가 모여 있는 신경절에 자리를 잡아 1차 감염 후에 일생을 두고 재발을 일으킬 수 있는 근거지를 마련합니다. |
|
| 수포들이 커지면서 심한 통증이 있습니다. | | 1년에 5∼8회나 재발합니다. | | 거의 평생 동안 재발할 수도 있습니다. |
|
|
|
|
몸에 기생하는 이의 일종으로 주로 음모에 기생합니다. 아주 밀접한 접촉이나 타월, 옷, 이불 등을 통해서도 전염이 됩니다.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이 나타나며, 지속적인 가려움증으로 피부가 붓고 헐게 됩니다. 음모 부위를 살펴보면 이에 물린 자국인 미세한 피멍을 볼 수 있으며, 돋보기로 보면 음모 위에 딱 달라붙은 흰 알을 볼 수 있습니다. 치료는 약국에서 '린단크림'이라는 약을 구입해 발라주면 됩니다.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의심되는 옷은 소각 처리하고, 이불은 삶아 빨아 햇볕에 자외선 소독을 합니다. |
|
|
|
후천성 면역 결핍증은 1979년 미국에서 사례 보고가 있은 후 역학적 조사를 XHDOG 밝혀진 질병입니다. 에이즈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중앙아프리카의 녹색원숭이가 사람을 물어 인간에게 전파됐다고 합니다. |
|
| 75%가 성교를 통해 전염됩니다. | | 감염에서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
|